![]() |
Kim Seung-young's "Flag" (2015) depicts the deserted Antarctic landscape during a white night with a combination of salt, LED lights and a mini flag. Courtesy of ARKO 김승영 작가의 ‘플래그(2015)'는 소금, LED 조명, 그리고 작은 깃발의 조합을 통해 황량한 남극의 백야 풍경을 묘사한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
By Park Han-sol
The terminals of Korea's two major airports ―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have transformed into unlikely spaces filled with the country's contemporary art.
국내 2대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 터미널이 한국 현대미술로 가득한 신선한 공간으로 변신했다.
Running to coincide with leading art fairs Frieze and Kiaf Seoul, the three concurrent exhibitions sprawled across the airports provide inbound travelers a peek into the diversity of the Korean art scene ― from Nam June Paik's TV installation to works born from today's media artists' trips to the polar regions.
주요 아트페어(미술품 장터)인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 기간에 맞춰 공항 전역에서 동시 운영되는 전시 3개는 백남준의 TV 설치작품부터 현대 예술가들이 극지방 경험을 녹여 제작한 작품까지 입국 여객에게 한국 미술계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As suggested by its title "Direct from Antarctica and the Arctic to Incheon Airport," the exhibition, staged in the departure hall of Terminal 2 until Nov. 30, shows seven artists who took part in the annual polar residency program offered by Arts Council Korea (ARKO) and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since 2011.
11월 30일까지 제2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남극/북극 출발 인천공항 도착'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극지연구소가 2011년부터 매년 진행하는 극지 레지던스에 참여한 7명의 작가를 선보인다.
These creatives ― who either stayed at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or traveled to the Arctic Ocean aboard Korea's first icebreaker Araon ― reimagine the remote, sparsely-inhabited polar regions as eye-catching media pieces and installations.
남극 세종과학기지에 머물거나 한국 최초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승선해 북극해를 여행한 예술가들은 사람이 살지 않는 외딴 극지방을 시선을 사로잡는 미디어 작품과 설치물로 재해석한다.
Kim Se-jin's "2048" explores the uncertain geopolitical future that lies ahead of Antarctica, highlighting the expiration year of the Antarctic Treaty, originally signed in 1959 to demilitarize the region and promote peaceful international scientific cooperation.
김세진의 '2048'은 남극을 비무장화하고 평화로운 국제적 과학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1959년에 체결된 남극조약이 만료되는 해를 조명하며, 남극 앞에 놓인 불확실한 지정학적 미래를 탐구한다.
Son Kwang-ju's "Phaedo" likens the current state of the Arctic Ocean faced with changing climate to the final words of Socrates, while Cho Kwang-hee's "A Beautiful Disappearance" captures in a video loop the man-sized icebergs visibly melting away in a matter of days ― along with curious popping noises.
손광주의 '파이돈'은 기후 변화에 직면한 북극해의 현재를 소크라테스의 유언에 비유했고, 조광희의 '아름다운 소멸'은 성인 크기 빙산이 수일 내로 녹는 모습을 흥미로운 ‘펑' 소리와 함께 영상에 담았다.
"When organizing this show, we came to realize that airports and polar circles have a lot in common," said curator Kim Hyo-jeong. "Both are places without a specific nationality. Our perception of time in these places is also incredibly different from the rest. And neither the airport nor the polar regions can be permanently inhabited by someone."
김효정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를 기획하며 공항과 극지방이 공통점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둘 다 특정한 국적이 없는 공간인데다 여기서의 시간 관념은 다른 곳들과 완전히 다르다. 또 공항과 극지는 영구히 체류하지 못하고 잠시 머물다 가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닮았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transform 변형시키다
■ concurrent 공존하는, 동시에 발생하는
■ sprawl 넓은 지역에 걸치다
■ take part in (~에) 참가하다
■ remote 외진, 외딴
■ demilitarize (어떤 지역을) 비무장 지대로 만들다
■ perception 지각, 자각
기사 원문 보기